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네트워크] 네트워크 개요
    School/Network 2021. 10. 13. 02:30

    네트워크 개요

    •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분류 및 역사
    • 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계층 구조
    • 네트워크 기술의 표준

    1.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분류 및 역사

     

    통신이란? 전지, 전자적 혹은 빛을 이용한 기술 또는 장치의 도움을 받아서 원격지와 원격지 간에 이루어지는 정보교류

    데이터 통신이란? 음성이 아닌 문자, 숫자, 기호 등 텍스트 형태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현하고 이를 원격지까지 전달하는 통신

     

    통신의 분류

    분류관점 통신의 종류
    전송 매체 유선통신, 무선 통신
    송수신자의 이동여부 고정통신, 이동통신
    신호형태 디지털 통신, 아날로그 통신
    신호의 종류 전기통신, 광통신
    이용 대상 공중통신, 전용통신
    정보의 표현 형태 음성통신, 데이터 통신, 화상통신, 영상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2. 컴퓨터 네트워크의 역사

    1960년대 : 패킷교환의 출발 전신망과 전화망으로 구분하였던 과거의 통신 방식 : 회선교환
    -> 타임 쉐어링 기술의 등장과 컴퓨터 데이터 전송의 필요성 증대로 적합한 방식인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교환 기술 등장

    패킷교환 방식 : ARPA 네트워크 적용, 무선 패킷 프로토콜인 알로하 네트워크, X.25, 이더넷 및 여러 컴퓨터 제조사들의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영향을 미쳤음 , 현재의 TCP/IP 기반의 인터넷 기본 사상을 이룸
    1970년대 : 인터네트워킹의 시작 ARPA 네트 : 최초 연구에 참여하는 4개 대학간의 컴퓨터 상호 연결하여 정보 공유
                   : 페쇄형 네트워크

    표준화 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의 혼재 -> 초기 TCP버전 
    초기 TCP/IP: 순서와 신뢰성이 보장된 전송을 위한 IP 및 UDP -> TCP, IP, UDP 분리 

    ALOHA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개발, Ethernet 프로토콜 계승
    1980년대 : 네트워크의 확장 TCP/IP가 표준 프로토콜 선정

    IPv4 32비트 주소체계와 DNS도입되어 네트워크 접속의 대중화 촉진
    1990년대 :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 www(World Wide Web)의 등장으로 상업적인 인터넷 등장과 폭발적인 성장이 이뤄짐.
    전문가 영역에서 일반 사용자들의 사용 가능

    문자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변화시켜 이용자 편의성을 제공하여 인터넷의 대중화를 이룸.
    2000년대 :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  xDSL, FTTH, Cable Modem  전송기술 : 광전송이 가능해지면서 텍스트 위주의 서비스에서 영상전송이 실시간으로 가능해지고 영상위주의 서비스 등장으로 이용자수 증가

    와이파이, 모바일 기술 : 와이파이 기술의 등장으로 공공장소와 시내전역에서 서비스 이용, 이동전화의 보급으로 이동중에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환경 제공

    SNS, E-Commerce 포털, 인터넷금융 전성시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SDN & NFV) : 인터넷 트래픽의 가파른 증가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분리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가 가능한 새로운 기술의 등장. 시스템 측면 - SDN, 네트워크 측면 - NFV

     

    3. 통신프로토콜과 네트워크 계층 구조

     

    정보 교환을 위하여 정한 다양한 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을 통신 규약이라고 하며,이를 통해 효과적인 통신이 가능 

    대표적인 것으로는 TCP/IP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 

    통신프로토콜이란? 통신 서비스 또는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해 관련 통신 당사자간 교환하는 정보의 종류와 표현형식, 교환 절차, 그리고 교환과정에서 실행해야 할 행위에 관한 규약

    구분 -  폐쇄형 망구조 (SNA) <---> 개방형 망구조 (ISO/OSI, TCP/IP)

    구성요소 -  구문, 의미, 타이밍

    기능 -  단편화와 재결합 , 연결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동기화, 순서화

     

    -네트워크 계층구조 모델 

    일반사용자는 OSI 7 Layer 맨 위의 응용계층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 요청은 하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전달외어 맨 아래에 있는 물리 계층을 통해 호스트에게 전송된다. 그리고 요청의 각 계층으로 하달되는 과정에서 계층별로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원하는 위치로 전달하는 구조

     

    4. 네트워크 기술 표준

     

    - 표준 종류

    적용범위에 따른 분류 : 국제표준, 지역표준, 국가 표준, 단체 표준, 사내 표준 등

    표준규정에 따른 분류: 기본 표준, 기능 표준, 이용자 표준, 시험 표준 등

    적용방법에 따른 분류 : 강제 표준, 권고 표준 등

     

    -대표적인 표준화 기구

    국제표준화 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미국표준협회(ANSI)

    미국전자공업협회(EIA)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

    유럽전기표준화위원회(CEN/CENELEC)

     

    -대표적인 국내 표준화 기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표준정보원(KASI)

    한국정보화진흥원(NIA)

     

    'School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무선LAN  (0) 2021.10.18
    [네트워크]MAN  (0) 2021.10.17
    [네트워크]고속기가 LAN  (0) 2021.10.17
    [네트워크]LAN(Local Area Network)  (0) 2021.10.1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