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MANSchool/Network 2021. 10. 17. 14:44
-MAN의 정의
백본망과 가입자망 접속제공
LAN과 LAN을 연결, 백본 네트워크로 가는 길목 역할
국내 MAN 구간의 링형 구조 -> Metro Access - 가입자 Metro Core - 망제공자
MAN토플로지
DQDB(802.6) 다수의 LAN간의 통신을 원활히 하기위한 기술
-이중링구조
-이중버스구조 : 정해진 스트림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 , 각 노드는 빈 프레임을 받았을때만 전송가능, 기아현상 발생
-분산큐구조 : 기아현상 방지, 예약정보가 오면 큐에 삽입
광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을 이용
회선교환 및 패킥 교환 서비스 모두 제공
슬롯 생성기 : 양쪽시작부분에 53바이트의 슬롯을 주기적으로 생성 (5바이트 헤더, 48바이트 데이터)
프레임
B - 슬롯내 데이터의 유무 판별
ST-슬롯타입 전송슬록의 두가지 유형을 나타냄
R - 버스슬롯 예약
PSR - 슬롯을 이전 노드가 읽었는지 판별
RQ - 3개의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 우선권을 구분
Address - MAN과 WAN에 사용된는 가상채널 식별자
Type - 일반 데이터와 제어용 데이터 등의 MAC Frame 데이터에 대한 유형을 구분
Priority -우선순위
CRC - 에러검출용SMDS MAN과 WAN의 고속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
비연결지향형 고속 통신 서비스 제공
스위칭 방싱을 통해 효율적인 망간 연결 제공 (망 효율 증가)
CPE보유현대의 MAN
대부분 링형태 - SONET/SDH, ATM
MAN의 역할 - 가입자망을 백본망과 연결해줌
주로 SONET/SDH 링으로 구성
- 광선로를 기반으로 하는 고속 통신 지원
- 광대역 통신망 필요 : 대용량 데이터 전송
- ADM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링관리 (ADD: CO -> 링, Drop: 링->CO) -> 모든 트래픽을 검사하는 오버헤드가 감소
-빠른 장애복구 능력(ADM이 장애를 감지하고 신속하게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
-SONET의 이중링 구조 : 데이터 전송용, 예비데이터 전송(에러)
MAN의 문제점
-TDM기반의 SONET/SDH회선 교환망 -> 대역폭 낭비
-가입자망의 접속형태 : 고속화
-인터넷 서비스 사업의 형태 변화로 대도시로 트래픽이 집중
-멀티미디어 발달로 인해 트래픽 폭증
메트로 이더넷
'School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무선LAN (0) 2021.10.18 [네트워크]고속기가 LAN (0) 2021.10.17 [네트워크]LAN(Local Area Network) (0) 2021.10.14 [네트워크] 네트워크 개요 (0) 2021.10.13